안녕하세요, 친환경 전문 블로거 Nomadallen입니다. 우리 손을 떠난 쓰레기 중에서도 가장 드라마틱하게 가격이 오르내리는 원자재가 바로 폐지입니다. 흔히 '가장 비싼 쓰레기'라 불리지만, 폐지 1kg의 고물상 가격은 지난 10년 추이 동안 국제 정세와 국내 경기 상황에 따라 극심한 변동을 겪었습니다. 오늘은 폐지 가격의 변동 배경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이 가격 변동이 우리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를 짚어봅니다.

1. 폐지 시세 10년 변화의 거대한 흐름과 배경
국내 폐지 시세는 단순한 재활용품의 가격이 아닌, 세계 경제의 흐름과 순환 경제의 민낯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지난 10년은 폐지 산업이 겪은 여러 차례의 대란과 일시적 호황의 시기였습니다.
2017년 폐지 대란: 중국발 충격과 가격 폭락
2017년부터 2018년 사이, 중국이 자국 환경 보호를 이유로 폐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하면서 국내 폐지 시장은 큰 충격에 빠졌습니다. 중국은 그동안 전 세계 폐지의 주요 수입국이었는데, 수출길이 막히자 국내에 폐지 재고가 대량으로 쌓이기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고물상 가격은 1kg당 40원에서 60원대까지 폭락했으며, 이는 폐지 수집으로 생계를 유지하던 많은 사람에게 직접적인 타격을 입혔습니다. 폐지 100kg을 모아도 밥 한 끼 값조차 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2020년~2021년: 코로나 특수와 일시적 가격 급등
아이러니하게도 코로나19 팬데믹은 폐지 시장에 일시적인 활력을 불어넣었습니다. 비대면 소비가 급증하며 온라인 쇼핑과 택배 물량이 폭발적으로 늘었고, 포장재인 골판지 원료인 폐지 수요가 급증했습니다. 국내 제지업체의 폐지 매입 단가가 상승하면서 폐지 시세는 1kg당 130~150원대까지 치솟으며 일시적인 호황을 누렸습니다. 이 시기는 폐지가 '금판지'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2023년 이후: 경기 침체 심화와 고물상 가격의 침체
2023년 이후, 고금리와 경기 침체가 전 세계적으로 심화되면서 폐지 시장은 다시 침체기에 접어들었습니다. 포장용 박스를 사용하는 가전, 가구, 소비재 시장이 위축되면서 골판지 원지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했습니다. 수요가 줄어들자 국내 폐지 재고는 다시 증가했고, 고물상 가격은 1kg당 70~80원대 수준으로 다시 하락하며 불안정성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 고물상 가격을 좌우하는 핵심 변수들
폐지의 10년 추이를 관통하는 핵심은 '원자재 가격으로서의 민감성'입니다. 고물상 가격은 최종 소비재 시장, 국제 운송 환경, 그리고 중간 유통 구조의 영향을 복합적으로 받습니다.
글로벌 경기 상황과 골판지 산업의 연동
폐지의 최종 수요처는 대부분 골판지 원지입니다. 글로벌 경기가 활발하여 수출입 물동량이 증가하고 소비 시장이 커지면 골판지 수요가 늘고 폐지 가격은 상승합니다. 반대로 경기 침체는 폐지 재고를 늘려 가격 하락을 부릅니다. 이는 폐지가 가진 '산업 원료'로서의 성격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운송 물류비용과 유통 구조의 비효율성
폐지 가격에는 물류비용이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특히 해상 운임 등 국제 물류비용이 상승하면 수출 경쟁력이 약화되어 국내 재고가 늘고 가격이 하락하는 요인이 됩니다. 또한, 폐지 수집 노인, 고물상, 압축장, 제지업체로 이어지는 복잡한 유통 구조는 정보의 불균형을 야기하며, 최종 소비자가격 변동이 수집 단가에 반영되기까지 시간이 걸리게 합니다.
3. 폐지 10년 추이가 던지는 사회적 메시지
폐지 시세의 불안정성은 폐지 수집으로 생계를 잇는 사회적 약자의 삶과 직결됩니다.
생계와 직결된 가격: 폐지 수거 노인 문제 심화
고물상 가격의 폭락은 폐지 수집 노인들의 유일한 생계 수단을 위협하며 빈곤 문제를 심화시킵니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조사에 따르면, 노인들이 하루 평균 58.5kg의 폐지를 수집해도 70원 기준으로는 4,000원 정도의 수입밖에 얻지 못합니다. 이는 폐지 가격의 10년 추이가 경제 지표 이상의 사회 문제임을 시사합니다.
재활용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노력
반복되는 폐지 대란을 막기 위해 정부는 종이류에 대한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도입을 검토하는 등 제도적 안정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는 폐지의 환경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높여, 폐지 시세의 안정적인 순환 구조를 만들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 Nomadallen의 최종 의견:
폐지 고물상 가격의 10년 추이는 우리 사회의 소비와 경제, 그리고 환경이 얼마나 깊이 연결되어 있는지 보여줍니다. 폐지 시세의 안정화는 단순히 제지 산업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자원 순환 시스템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과제입니다. 깨끗하게 분리된 폐지 한 장이 만드는 가치를 기억해야 합니다.